기사 메일전송
소비 회복세에 경기 반등 신호…정부, 경제 ‘삼중고’ 속 낙관론
  • 조지연 기자
  • 등록 2025-08-14 11:32:43
기사수정
  • 건설투자 부진·고용 애로·수출 우려 지속…소비 증가세 전환이 회복 견인 기대
  • 정부 “정책 효과로 민간 소비 살아나…경기 반등 가능성 높아져”

정부가 경기 회복의 신호로 소비 증가세 전환을 주목하며, 현 경제 상황에 대한 낙관적 전망을 내놓았다.

 

이형일 기획재정부 차관이 강형석 농림축산식품부 차관과 함께 7월 23일 오후 서울 서초구 농협하나로마트를 방문, 매장을 시찰하며 주요 농축산물 수급 현황과 생활 물가 동향을 점검하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14일 발표한 ‘2025년 8월 최근 경제동향’을 통해 우리 경제가 건설투자 회복 지연, 고용의 취약성, 미국의 관세 부과에 따른 수출 둔화 우려라는 삼중고에 직면해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나 동시에 정책 효과 등으로 소비가 회복세로 전환되고 있어 경기 반등의 긍정적 신호가 감지되고 있다고 밝혔다.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7월 중 광공업, 서비스업, 건설업의 생산이 모두 전월 대비 및 전년 동월 대비 증가했다.

 

소매판매 역시 전월 대비 0.5% 증가하며 민간소비가 완만한 회복세를 보였다. 이에 따라 전체 산업생산은 전월 대비 1.2%, 전년 동월 대비 0.8% 증가했다.

 

고용지표에서도 일부 개선 조짐이 나타났다. 7월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17만1천 명 증가하며 고용률은 63.4%를 기록했다.

 

다만 제조업과 건설업 부문의 취업자 수는 여전히 감소세를 이어갔다. 반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금융·보험업 등에서는 취업자 수가 늘었다.

 

물가 측면에서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1%로 전월 대비 소폭 하락하며 상승폭이 다소 둔화됐다. 가공식품 가격 오름세 둔화와 석유류 가격 하락 전환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근원물가(식료품·에너지 제외)는 전년 동월 대비 2.0% 상승으로 안정적인 흐름을 유지했다.

 

한편 수출은 반도체 업황 호조에도 불구하고 대외 통상 환경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미국의 관세 정책이 한국 기업의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정부는 이러한 상황을 고려해 “정책 효과 등으로 소비가 증가세로 전환되고 있어 향후 경기 회복에 긍정적 신호가 나타나는 모습”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추경의 신속한 집행과 소비쿠폰 등 내수 활성화 대책을 통해 민생 회복에 총력을 기울이고, 통상 리스크 대응에도 범정부적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내외 경제의 불확실성이 상존하는 가운데, 정부는 소비 중심의 회복세를 토대로 경기 반등의 발판을 마련한다는 전략이다.

 

0
사이드배너_유니세프
사이드배너_국민신문고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